참삶의 주인공이 되는 행복 배움터

혁신학교 핵심가치

  • 혁신학교
  • 혁신학교 핵심가치

혁신학교의 5대 핵심 가치

학교는 학생들이 앎과 삶을 배우고 성장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혁신학교는 배움, 나눔, 그리고 성장의 공동체를 지향하며 다음과 같이 5대 핵심 가치를 추구한다.

공공성
교육의 공공성은 곧 교육이 사회 전체의 필요성과 이익에 부합되어야 한다. 이는 교육이 공익적 가치와 태도를 추구해야 하고, 이를 위한 모든 활동은 구성원 전체에게 공유되어야 한다.
개인이 청한 환경에 관계없이 누구든지 어디서나 자기를 실현할 수 있는 학교
협력과 나눔으로 공공적 가치와 사회적 책무성을 기르는 교육을 추구한다.
자발성
자발성은 구성원들에 대한 인정을 바탕으로 자존감과 효능감이 커졌을 때 나타난다.
자율성과 책무성을 가지고 교육 활동을 지원하는 학교
학생 인권과 자치 활동이 존중되고, 학생 중심의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평가의 주체로서 교사가 권리를 가지며, 교사 조직이 전문적인 학습 공동체로 성장하는 학교
학부모가 학교 교육과정을 비롯한 학교 운영에 자발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며, 아이들의 성장을 돕기 위해 교사들과 협력하는 학교
학생, 교사, 학부모 교육 주체가 민주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며 모두 다 행복하게 성장하는 학교를 추구한다.
공동체성
공동체성은 공동체의 질이 구성원들의 관계 속에서 결정되며, 교육의 제반 문제가 개별적 접근보다 호혜적 접근으로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임을 바탕으로 한다.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관계 맺기 능력, 소통과 협력, 연대 등을 경험하며 배워나갈 수 있는 교육
학생들은 소그룹 토의 학습, 모둠 협력활동, 각종 학생 자치 활동에 참여하면서 상호 작용 능력을 체득해 나갈 수 있는 교육
교사들은 동료들과 전문적인 학습 공동체를 만들고, 교실과 수업이 열린 연수의 장이 되는 학교
학부모들은 자기 아이를 넘어 모든 아이들에 관심을 갖고 교육동반자로 활발히 참여하는 학교를 추구한다.
지역성
우리의 학교가 폐쇄적인 상태에서 획일화, 관료화, 통제화 되다보니 학교의 변화는 거의 없는데, 학교 밖 사회의 각종 문화 예술·교육 분야는 계속하여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지역사회 교육공동체의 일원이 되어 학습터로서 기능을 하기도 하고, 지역 사회의 인적, 물적 요소들의 적극적 교류를 통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중심이 되는 학교
지역 사회의 특수성을 파악하여 교육과정 안으로 수렴하여 지역 사회의 경험들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학교를 추구한다.
창의성
창의성은 누구에게나 있는 것으로, 창의성 교육은 그 누구에게나 있는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1세기 사회를 살아가는 힘 중의 중요한 하나는 개인이나 조직이나 개인적, 집단적 창의성을 얼마나 발현해 낼 수 있는가라고 할 수 있다.
학교 구성원들 내면에 숨겨져 있던 창의적인 사고를 발양시킬 수 있는 학교
교사를 믿고 교육과정 수립, 운영의 자율성을 부여하며, 현안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도록 지지하여 교육의 많은 문제들을 극복하는 학교
학생 중심의 교육 활동, 학생 자치의 활성화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학교
교육과정의 다양화·특성화, 학생 개개인에 맞는 교육 등을 통해 학생의 재능을 한껏 발양시킬 수 있는 학교를 추구한다.